센서와 스위치 46

피팅(Fitting)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팅(Fit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팅은 배관에 다른 배관 또는 밸브, 센서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나사 또는 용접으로 체결하며, 적재적소에 맞는 배관 연결 방식이 굉장히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류가 매우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팅의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쓴 글인 나사산(Thread)에 대하여를 참조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피팅(Fitting)의 종류와 역할 어댑터(Adapter)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체결방식을 가진 배관 또는 제품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한쪽 배관의 나사탭은 3/4" NPTM, 한쪽 배관은 용접배관일 때, 한쪽은 3/4" NPTF, 한쪽은 용접..

접점(Contact)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접점(Contac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접점은 스위치의 일반적인 출력입니다. 접점이 붙으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어기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때때로는 제어 부하를 직접 On/Off 하거나 회로 자체를 On/Off 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접점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접점(Contact)의 종류 접점에는 기본적으로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상시열림접점(Normally Open, N.O., A접점, SPST) 상시열림접점은 스위치가 평시 상태에 있을 때 회로를 개방 상태(Open)로 유지하는 접점입니다. 이 분야에 첫발을 디딘 분들은 회로의 Open(열림)과 Closed(닫힘)을 굉장히 혼돈합니다. 일..

유량센서(Flowmeter)에 대하여 - 부록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은 유량센서 3부작의 부록 입니다. 유량센서는 다양한 유체를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하며, 굉장히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어떤 것을 위해 이렇게 많은 종류로 나뉘어져 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별도로 서술하지 않은 유량센서 또한 간단하게 사진 예시를 들어 소개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아래 표는 필자의 경험과 업계에서 들은 지식들에 의해 작성 되었으며, 참조하시되 별도 현장 조건에 맞게 꼭 세부검토 하시어 설치하시기를 바랍니다. 각 유체별 유량센서 사용 적합도 *용적식 유량계 : Positive displacement meter, PD / 흔히 오벌기어 유량계로 부릅니다. 맞물린 오벌 기어에 의해 한바퀴당 정해진 유량을 흘려 내..

유량센서(Flowmeter)에 대하여 - 3(完)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량센서(Flowmet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량은 압력, 온도, 초음파센서 등 여러 기본 센서들의 응용으로 측정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량 센서는 그 종류가 많고, 기술들이 다양하기에 모든 제품을 소개드리는 것은 다소 어려우니, 혹시 꼭 필요하신 부분이 있다면 이메일로 질문 주시면 답변 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은 유량센서 3부작의 마지막 글입니다. (드디어 !!) 열식 질량 유량센서와 코리올리스 유량센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열식 질량 유량센서 (Thermal Mass Flowmeter) 원리 열식 질량 유량센서(Thermal Mass Flowmeter)는 유체에 의해 빼앗긴 열량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유체가 ..

버블 센서(Bubble Detector)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버블 센서(Bubble Detect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블센서는 튜브 내 기포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대부분 NPN/PNP Transistor 출력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분석기/의료장비 등에 사용되며, 용액 내에 기포가 섞여들어가면 안되는 Application에 사용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버블 센서의 원리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블 센서(Bubble Detector)의 원리 버블 센서는 유체가 채워진 튜브 내에 기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합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며, 정전용량 방식의 제품도 있습니다. 초음파 버블 센서(Ultrasonic Bubble Detector) 초음파 방식의 버블 센..

초저온 압력센서(Cryogenic Pressure Sensor)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저온 압력센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ryogenic은 액화산소, 액화CO2, 액화질소 등 일반적인 기체를 액화시켜 그것을 다루는 분야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압력센서는 이 온도에서 견딜 수 없으며, 특수하게 설계된 압력센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저온 압력센서 초저온 압력센서는 각 제조사별 특수한 기술로 제작합니다. 일부 제조사는 특허받은 Thin Film 기술을 사용하며, 일부 제조사들은 Silicone capillary을 통한 Remote Diaphragm으로 제조하기도 합니다. 특허받은 고유 기술까지는 제가 알 수 없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몇몇 제조사의 초저온 압력센서를 소개 해 보고자 합니다. Omega社 PX100..

홀센서(Hall Sensor)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홀센서(Hall Sens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홀센서란, 홀 이펙트를 활용하여 자성체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성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자성체가 다가왔을 때 TR 출력을 내는 스위치류 제품으로 활용하는 제품으로, 홀이펙트와 홀센서의 종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홀 이펙트(Hall Effect) 1879년, 홀이펙트는 에드윈 허버트 홀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홀이펙트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 흐름의 방향이 휘어지며 발생하는 효과입니다. 전류란 쉽게 말해 전자의 흐름이며, 이 전자는 (-)전하와 (+)전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자가 흐르고 있는 도중 자기장이 가해지게 되면, 로렌츠힘(Lorentz's Force, ..

무정전전원장치(UPS)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란, 주요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쉽게 말하면 비싼 다기능 배터리입니다. UPS는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등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여 입력전원 손실로부터 거의 즉각적인 보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조전원 시스템, 비상발전기 등과는 다릅니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기능 UPS는 일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정전으로부터 데이터센터, 통신장비 등에 비상전원을 즉각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및 하드웨어를 보호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번 카카오의 데이터센터 화재 ..

플랜지(Flange)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랜지(Flan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랜지(Flange)란, 배관에 다른 배관을 접합, 또는 밸브, 스트레이너, 펌프, 센서 등의 제품을 배관에 결합할 때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또는 사용하지 않거나 유지보수 등을 위해 한번씩 라인을 개방시켜야 하는 경우, 덮개 역할만 하는 막힌 플랜지도 있습니다. 플랜지는 배관 라인의 압력, 온도, 유체 종류에 따라 재질 및 두께 등이 달라지며, 세부 설계 내용이 각 나라 별 규격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플랜지(Flange)의 종류 접합면에 의한 분류 Flat Face Flange(FF) : 모든 면이 평평한 플랜지로, 가스켓이 플랜지의 전체 면에 접촉하게 됩니다. Flat Face Flange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센서와 스위치를 다잡는 센서보이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지 보호기(Surge Protect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지(Surge)란, Line 또는 회로를 따라서 전달되며, 급속히 증가하고 서서히 감소하는 특성을 지닌 전기적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의 과도파형 입니다. 서지는 자연현상에 의한 서지와 개폐 및 기동에 의한 서지로 나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장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서지 보호기를 장착합니다. 서지(Surge)의 종류 자연현상에 의한 서지(Surge) 직격뢰 (Direct Strike) : 낙뢰가 구조물, 장비, 전력선 등에 직접 뇌격하는 것으로, 약 20kV 이상의 전압과 수kA ~ 300kA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합니다. 간접뢰 (Indirect Lightning) ..